📌 등본이랑 초본, 뭐가 다른가요?
공공기관 서류를 준비할 때 자주 듣게 되는 용어가 바로 주민등록등본과 주민등록초본입니다.
이 두 서류는 비슷해 보이지만, 기재 내용과 용도 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등본과 초본의 차이점, 그리고 정부24에서 주민등록초본을 발급받는 방법까지 상세히 안내해 드릴게요.
✅ 주민등록등본과 초본의 차이점 정리
구분주민등록등본주민등록초본
✅ 주요 내용 | 세대 구성, 주소, 세대주 정보 등 | 주소 변동 이력, 병역사항 등 |
✅ 용도 예시 | 전입신고, 금융기관 제출 등 | 병역 관련, 운전면허, 공무원시험 등 |
✅ 발급 가능 대상 | 본인 또는 세대원 | 본인만 가능 |
✅ 요약:
- 등본은 ‘현재 가족 관계와 거주 정보’를 보여주고
- 초본은 ‘이사한 이력이나 병역 기록 등 개인 이력’을 확인하는 서류입니다.
🖥️ 정부24에서 주민등록초본 발급받는 방법
1️⃣ 정부24 접속 또는 앱 실행
- www.gov.kr 접속
- 또는 정부24 앱 실행
2️⃣ 로그인 또는 비회원 신청 선택
- 회원 로그인이 편리하나, 비회원도 본인 인증 후 발급 가능
3️⃣ ‘주민등록초본’ 검색
- 상단 검색창에 “주민등록초본” 입력
- 민원 목록에서 주민등록표 초본 발급 선택
4️⃣ 발급 정보 입력
- 발급 대상: 본인만 가능
- 주소 이력 포함 여부 선택 가능 (필요 시 체크!)
- 병역사항 포함 여부도 선택 가능
5️⃣ 인증 후 발급 완료
- 공동/간편 인증서로 본인 인증
- PDF 저장 또는 프린터로 직접 인쇄 가능
💸 수수료 및 무료 발급 여부
발급 방식수수료비고
정부24 (온라인) | 무료 | PDF 저장 시 무료 |
주민센터 방문 | 400원 | 인쇄본 수령 시 유료 |
온라인 발급은 무조건 무료! 출력만 하지 않으면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.
❗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초본은 다른 사람 것도 발급할 수 있나요?
A. 아닙니다. 초본은 본인만 발급 가능합니다. 가족 것도 안 됩니다.
Q. 주소 이력은 어디까지 나오나요?
A. 기본적으로 최근 5년이나 10년 등 선택할 수 있습니다. 필요 범위에 맞게 선택하세요.
Q. 병역사항이 꼭 포함되어야 하나요?
A. 아닙니다. 체크 여부는 선택 가능하며, 병역 관련 기관 제출 시만 포함합니다.
🧾 요약
- 등본: 현재 세대 정보, 가족 구성 확인용
- 초본: 주소 이력, 병역사항 포함 가능 – 이력 확인용
- 정부24에서 무료로 초본 발급 가능
- 본인 명의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필요
- 출력 없이 PDF 저장만 하면 비용도 들지 않음
📝 마무리
이제 등본과 초본이 어떻게 다른지, 어떤 상황에서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지 확실히 아시겠죠?
정부24를 활용하면 시간도 절약하고, 무료로 간편하게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어요.
꼭 필요한 때마다 스마트하게 활용해 보세요!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본증명서 온라인으로 발급 받는 방법 (2) | 2025.05.13 |
---|---|
가족관계증명서 발급하는 방법 (인터넷, 무인발급기, 주민센터) (0) | 2025.05.12 |
주민등록등본 발급 방법 (무료 발급 포함) – 정부24로 간편하게 처리하는 법 (2) | 2025.05.01 |
📝 마음이 무거울 땐 걷자 – 걷기 명상의 효과 (0) | 2025.04.23 |
📝 하루 15분, 혼자 있는 시간이 주는 회복력 (0) | 2025.04.23 |